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세포 에너지 발전소 미토콘드리아

세포에너지 발전소 미토콘드리아

세포의 에너지를 합성하는 미토콘드리아에 산소가 부족하면 각종 문제가 발생한다. 코골이는 미토콘드리아라는 신비한 존재와 관련이 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에너지 발전소’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미토콘드리아라는 존재를 알게 된 것은 1850년 무렵으로 광학 현미경으로 세포를 관찰하며 발견한 미세한 실 같은 구조물을 미토콘드리아로 명명했다.

수면무호흡과 미토콘드리아

그리고 1996년 왕샤오동이라는 과학자가 세포의 죽음에 미토콘드리아가 관여한다는 것을 발표하면서 생명과학계의 주목을 받게 된다. 미토콘드리아는 이제 암, 당뇨, 염증, 노화를 비롯한 생명을 관할하는 중추소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중요한 기관인 미토콘드리아를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이 어떻게 손상시키는지 살펴보자.

미토콘드리아와 산소

원리는 단순하다.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를 만드는 발전소로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당과 산소를 사용한다. 당은 음식에서 얻고 산소는 호흡을 통해서 얻는다. 끼니를 거르면 기운이 없는 것은 미토콘드리아가 충분한 당을 공급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밀폐된 방이나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맥을 못 추는 것도 미토콘드리아에 산소 공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수면무호흡과 산소 포화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기도가 폐쇄되어 10초 이상 호흡이 정지되는 현상이다. 이 시간이 길어질수록 혈액 내 산소 포화도는 떨어지게 된다. 정상적인 혈액 내 산소 포화도는 항상 95% 이상이 유지 되어야한다. 그 이하로 떨어지면 뇌는 위험 상황으로 인식한다. 10초 이상 호흡이 멈추면 혈액 내에 산소 포화도는 떨어지기 시작한다.

뇌, 심장, 간과 미토콘드리아

세포 안에는 미토콘드리아가 수백 개에서 수천 개씩 존재하며 활동이 많은 기관의 세포일수록 미토콘드리아의 수가 많다. 뇌, 심장, 간 등 핵심 장기 세포에 미토콘드리아가 많이 있다. 이 말은 그 만큼 이 기관에서 산소를 많이 소비한다는 것이다.

관련 포스트

Woman sleeping with an anti-snoring mask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증상과 원인은 무엇인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증상과 원인은 무엇인가? 수면 중 호흡장애를 우리는 보통 코골이라고 부른다. 코를 곤다는 것은 정상적인 호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다. 하지만 의외로 코를 골지 않는 호흡장애가 생각보다 많다. 바로 수면무호흡증이 그것인데, 심하게 코를 골다가 갑자기 조용해지면서 숨을 쉬지 않아 함께 자는 사람을 놀라게 만든다. 상기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무호흡증은 대부분 기도가 막히는 상기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다. […]

자세히 보기
Unrecognizable pregnant woman drinking water

임신 중 코골이 발생과 대처 방법

코고는 임산부, 태아는 괜찮을까? 임산부 2명 중 1명은 코골이 경험이 있다고 한다. 코골이로 인한 산모의 저산소증은 태아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 높다. 영국 에든버러 대학의 닐 더글러스 박사가 ”유럽 호흡기 저널(European Respiratory Journal)”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임신 6개월이 넘은 여성 100명과 임신하지 않은 같은 연령대의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임신 6개월 이상 된 여성 […]

자세히 보기
Chimpanzee - Uganda

코골이의 원인은 인류 진화의 부작용이다.

코골이는 인류 진화의 부작용이다? 다른 동물과 달리 인간만이 코를 고는 이유는 진화에 따른 두개골 구조, 구강 구조 때문으로, 인간만 유일하게 누워서 자는 자세 때문에 중력의 영향을 받아 혀가 기도를 막고 코를 골게 만든다. 수많은 동물 중에 인간이 지구를 지배하게 된 것은 어떤 이유 때문일까? 인간은 다른 동물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인간과 가장 유사하다는 침팬지와 비교를 […]

자세히 보기
상담안내상담신청오시는길